210916. 수능특강(2020). P.57. 3.
There is no question <that [a large amount of communication among humans] is intentional, but much unintentional signaling takes place as well.>
인간이 계획적이라는 것에 대하여 많은 의사소통의 양으로 의문이 없으나 의도하지 않는 신호가 잘 발생한다.
>> 사람 간 의사소통의 많은 부분이 의도적이지만 의도되지 않은 많은 신호도 발생한다는 점에서 의문의 여지가 없다.
For example, in many cultures, someone giving a friendly greeting to another person raises his or her eyebrows for a moment.
예를 들어, 많은 문화들에서 누군가는 친절한 인사를 그 또는 그녀의 눈썹을 올리는 몸짓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전했다.
>> 예를 들어, 많은 문화에서, 다른 사람에게 다정한 인사를 건네는 어떤 사람은 눈썹을 잠시 치켜올린다.
This facial gesture is called "eyebrow flashing."
이 표정을 "아이브로우 플래싱"이라 부른다.
>> 이 표정은 "(인사로) 눈썹을 찡긋하기"라고 불린다.
Unless we make a conscious effort to think about it, we are not aware of having performed an eyebrow flash.
우리가 아이브로우 플래싱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을 의식적인 노력을 하는 것이 아니라면, 우리는 아이브로우 플래싱을 행동하는 것은 인지하지 못한다.
>> 우리가 그것에 대해 생각해 보려고 의식적인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눈썹 찡긋하기를 행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Even the receiver may not be aware of having seen the eyebrow flash.
그 상대방도 그 아이브로우 플래싱을 봤다고 인지하지 못할 것이다.
>> 그것을 받아들인 사람 조차 그것이 인사에 매우 중요한 측면이며
Despite the fact that it is a very important aspect of the greeting and alters the receiver's interpretation of the words spoken at the time.
그러한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매우 중요한 인사의 측면이고 그 당시에 말하고 있는 단어에 대하여 상대방의 이해를 변화시킨다.
>> 당시 발언된 말에 대한 그 사람의 해석을 바꾼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 눈썹 찡긋하기를 봤다는 것을 깨닫지 못할 수 있다.
나누면 안되는데.. 나눴어..
ㅠㅠㅠ
Even the receiver may not be aware of having seen the eyebrow flash, Despite the fact [that it is a very important aspect of the greeting and alters the receiver's interpretation of the words spoken at the time.]
>> []는 the fact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동격절이다.
As Irenaus Eibl-Eibesfeldt has demonstrated, greetings made without the eyebrow flash are interpreted as less friendly even when the spoken words are identical.
이레내우스 에이블-아이베스펠트는 인사가 발화자의 단어가 동일한 경우 아이브로우 프래싱 없이 하는 것은 덜 친절하게 해석한다고 입증했다.
>> Irenaus Eibl-Eibesfeldt가 입증한 바와 같이, 눈썹을 찡긋하지 않고 한 인사는 발언한 말이 심지어 동일한 때에도 덜 다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People in some cultures do not eyebrow flash, and this can create unintentional difficulties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몇몇 문화에서 사람들은 아이브로우 플래싱을 하지 않고 이것은 문화간 의사소통에서 본의 아니게 어려움을 만들 수 있다.
>> 일부 문화권의 사람들은 눈썹 찡긋하기를 하지 않으며, 이것은 문화 간 의사소통에 있어 눈썹 찡긋하기를 하지 않으며, 이것은 문화간 의사소통에 있어 의도치 않은 어려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There are many other examples of [what is called nonverbal communication in humans,] most of which are both signaled and received unintentionally.
사람들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부르는 많은 다른 예시들이 있다. 그것의 대부분은 양쪽의 신호와 의도하지 않게 수 받을 것이다.
>> 사람들 사이에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라고 일컫는 것에는 다른 많은 사례가 있으며, 그것의 대부분은 무심결에 신호로 보내지고 또 받게 된다.
'영어 해석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924. 수능특강(2020). P58. 5. (0) | 2021.09.25 |
---|---|
210917. 수능특강(2020). P.57. 4. (0) | 2021.09.17 |
210914. 수능특강(2020). P56. 1 (0) | 2021.09.15 |
210915. 수능특강(2020). P56. 2 (0) | 2021.09.15 |
210913. 수능특강(2020). P54. Gateway (0) | 2021.09.13 |
댓글